카테고리 없음

📌 청약 통장, 지금 왜 꼭 만들어야 할까? 바뀐 제도부터 가입 팁까지 총정리!

creator9538 2025. 5. 1. 14:49

안녕하세요. 경제를 쉽게 설명하는 저널리스트 이진우입니다.

이번 콘텐츠는 청약 통장 시리즈의 마지막 편으로, 앞선 내용을 요약하고 최근 제도 변화, 실제 가입 시 유의점, 그리고 청약 준비 전략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.

앞의 두 영상이 궁금하신 분들은 이전 영상을 참고해주세요. 그럼 지금부터, 청약 통장에 대한 꼭 알아야 할 정보를 확인해보겠습니다.

🏠 청약 통장, 왜 꼭 필요할까?

청약 제도는 1977년부터 운영되어온 제도로, 아파트 분양 = 청약 통장이라는 인식이 확고합니다.

- 집이 있어도, 나중에 팔고 무주택자가 되면 필요합니다.
- 미래에는 제도와 기준이 바뀔 수 있으니 일단 통장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- 청약은 단기전이 아닌 장기적인 준비 게임입니다.

💸 월 납입 인정액 41년 만에 인상!

2023년 11월 1일부터 월 납입 인정액이 10만 원 → 25만 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.

- 1983년 이후 무려 41년 만의 변화
- 월 25만 원 × 12개월 = 연 300만 원 인정
- 연소득 7천만 원 이하 무주택 근로자는 전액 소득공제 가능

예전엔 연 240만 원까지만 인정됐지만, 이젠 300만 원까지 소득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.

🏦 과거 통장도 전환 가능!

예전에는 청약 저축, 예금, 부금 등 종류가 달라 공공/민간 분양이 각각 다른 통장으로 나뉘었어요.

하지만 2015년 이후 ‘주택청약종합저축’으로 통합, 지금은 모든 분양 청약이 가능한 ‘만능 통장’이 되었죠.

2023년 10월 1일부터는 과거 통장도 전환 가능! - 납입 실적도 그대로 인정 - 단, 청약 모집 공고 이전에 전환 완료해야 합니다. - 공고일 이후 전환 시 청약 신청 및 순위확인서 발급 불가

👦 미성년자도 청약 통장 인정 기간 늘어남!

이전에는 미성년자가 청약 통장을 10년 넘게 유지해도 최대 2년까지만 인정됐습니다.

하지만 이제는 5년까지 인정! 만 14세에 가입하면 29세 청년 시점에 청약 점수 만점인 17점 확보 가능!

자녀를 위한 조기 청약 통장 개설,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 준비 사항입니다.

✅ 청약 통장, 무조건 유지해야 할 이유

청약 제도는 계속 바뀝니다. 하지만 분명한 것은 혜택은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것!

- 가점 계산 기준은 달라질 수 있음
- 미래 정책 변화는 누구도 예측할 수 없음
- 지금은 필요 없어 보여도, 언젠가 꼭 필요할 수 있음

지금 당장 집을 살 계획이 없어도, 통장을 유지해두면 미래의 선택지가 넓어집니다.

✋ 청약 통장 가입 팁 & 유의사항 정리

- 월 25만 원씩 꾸준히 납입 (소득공제도 챙기기)
- 통장 해지 금지! 유지가 곧 기회
- 모집 공고일 전 통장 전환 필수
- 미성년자 자녀 조기 개설 고려
- 청약 제도 공부 = 경쟁자보다 한발 앞서기

📌 마무리하며

청약 통장은 지금보다 미래를 준비하는 제도입니다. 어렵다고 피하지 말고, 공부하고 준비하세요. 어려울수록 준비한 사람이 유리한 제도라는 걸 꼭 기억하시길 바랍니다.